2024년부터 다양한 대중교카드가 등장하였습니다. 사실 제시하는 금액만큼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아 전혀 알아보거나 하지 않았는데 이번에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게 되어 할인카드를 하나 만들까 생각하던 중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뭐가 뭔지 모르겠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교통할인카드에 대해 비교해 보았습니다.
교통할인카드 종류 및 혜택
1. 기후동행카드(서울시)
2024년 1월 시범사업을 시작하며 기후동행카드가 탄생했습니다. 1달간 65,000원으로 서울 지역의 지하철과 버스, 그리고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청년 요금이 등장하여 청년층의 경우 5만 원대에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으로 충전이 가능해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다시 정리하겠지만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대충 계산해 보니 인상되기 전 지하철 요금 1,400원으로 계산해 볼 때 총 44회의 지하철을 탄다면 61,600원이 됩니다. 따라서 한 달에 기본 구간만을 이용한다면 총 45회 이상의 지하철을 이용하게 된다면 일단 이득 인 셈입니다. 여기에 기본요금이 아닌 추가 금액을 더 내거나 버스환승도 이용한다면 더 이득이며 따릉이도 이용할 경우 3천 원을 추가하고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으니 더욱 이득인 셈입니다. 또한 2025년 하반기에는 지하철 기본요금이 오를 예정이라 더욱 큰 금액을 세이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달에 사용하는 교통비가 8, 9만 원을 넘어가지 않는 경우 K패스와 어떤 것이 더 이득인지 계산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는 서울시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김포골드라인까지 이용이 가능해졌습니다.
- 기후 동행카드 : 이용 요금 일반 기준 62,000원(따릉이 포함 시 65,000원) / 이용 가능 횟수 무제한 / 서울 지역 내 지하철과 김포 골드라인(신분당선 미 포함), 서울 시 시내, 마을버스, 따릉이 이용 가능
2. K-패스(국토교통부)
이전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꽤 계셨으리라 생각됩니다. K-패스는 알뜰교통카드가 전환된 형태로 이전에 출발과 도착 버튼을 직접 눌러야 했던 이전의 알뜰교통카드에 비해 매우 이용하기 편리해졌습니다. 월 15회 이상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방식으로 월 15회에서 60회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전국의 지하철과 시내버스가 해당되며 신분당선과 광역버스, GTX도 포함됩니다.
신분당선의 경우 기후동행카드에는 해당이 안 되기 때문에 신분당선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K-패스 : 월 15회 이상 사용 시 60회까지 환급(20~53%) / 전국 지하철 및 시내버스(신분당선, 광역버스, 마을버스, GTX 이용 가능)
3. The 경기패스(경기도)
The 경기패스는 K-패스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추가로 경기도민을 위한 혜택이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6세~18세)의 경우 연 최대 24만 원 교통비를 지원합니다.
- The 경기패스 : 월 15회 이상 사용 시 무제한으로 환급 가능(20~53%) / 전국 지하철 및 시내버스(신분당선, 광역버스, 마을버스, GTX 이용 가능)
4. 인천 I-패스(인천)
경기도의 The 경기패스와 유사하지만 만 65세 이상 인천시민의 경우 30% 환급이 가능하며 추후 단계적으로 추가 상향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2025년 하반기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연 최대 12만 원 교통비가 지원될 예정입니다.
- 인천 I-패스 : 월 15회 이상 사용 시 무제한으로 환급 가능(20~53%) / 전국 지하철 및 시내버스(신분당선, 광역버스, 마을버스, GTX 이용 가능)
기후통행카드, K-패스, The 경기패스, 인천 I-패스 비교
구분 | 기후동행카드 | K-패스 | The 경기패스 | 인천 I-패스 |
요금 | 6만 5천원 (따릉이 미포함 6만 2천원) |
사후 환급 (최대 60회까지) |
사후 환급 (이용금액 할인율 전액) |
|
지원대상 | 제한없음 | 19세 이상 | ||
교통수단 | 서울시 지하철(신분당선 제외), 버스, 따릉이 +김포골드라인 |
전국 모든 대중교통(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포함) | ||
지원기준 | 무제한 | 월 15회~60회 | 월 15회~무제한 | |
지원금액 | 일반권: 6만 5천원 청년권: 5만 8천원 (따릉이 미포함 5만 5천원) |
청년 30% 35세 이상 20% 저소득층 53% |
청년 30% 40세 이상 20% 저소득층 53% |
|
비고 | 아이폰 유저: 실물카드 필요 | - | 어린이·청소년 연 24만원 지원 |
어린이·청소년 연 12만원 지원 (25년 하반기 예정) |
4가지 교통할인카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카드정보 > 카드별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뱅크 ONE 체크카드 혜택 알아보기 (0) | 2025.03.17 |
---|---|
KB 국민 톡톡 my point 카드 혜택 알아보기 (0) | 2024.02.04 |
국민 톡톡D 카드 혜택 알아보기 (0) | 2023.05.10 |
신한카드 The LADY CLASSIC 혜택 알아보기 (0) | 2023.04.16 |
KB 국민 탄탄대로 올쇼핑 티타늄 카드 혜택 알아보기 (0) | 2023.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