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태풍경보 발령기준(태풍특보기준)과 실시간 태풍 경로 확인 방법(+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나)

 

요즘 여름철만 되면 태풍 소식이 많이 들려옵니다. 매년 반복되기도 하지만 늘 대처하기 어려운 것이 자연재해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자연재해 중 여름, 가을에 종종 우리를 두려움에 떨게 하는 태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풍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인 태풍은 바닷물의 따뜻한 해류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상승 기류의 압박을 강하게 받았을 때 나타납니다.

가끔 천둥, 번개, 용오름, 우박 등을 동반하기도 하지만 천둥, 번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나무가 뽑혀 나갈 정도의 강한 강풍과 집중호우가 쏟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풍 경보 발령 기준(태풍 특보 기준)

태풍경보는 총 4개의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관심(Blue) : 태풍반발시기로, 그 영향이 우리나라에까지 미칠 가능성이 있는 태풍이 발생한 때

2. 주의(Yellow) : 태풍예비특보, 또는 태풍주의보가 발령되고, 태풍으로 인한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나타날 때

3. 경계(Orange) : 태풍경보가 발령되고 태풍으로 인한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할 때

4. 심각(Red) : 태풍경보가 발령되고 태풍으로 인한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실할 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 정부(행정안전부)의 태풍 관련 위기경보 단계 및 행동요령

태풍 관련한 위기경보는 각 단계별로 행동요령이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의 임시휴교령 및 직장 임시휴무 여부, 대피와 관련된 행동요령이 달라집니다.

1. 관심(Blue) : 방송 등을 통하여 태풍의 상황을 경청하고 가족과 지인들간의 비상연락망을 구축, 비상물품 준비

2. 주의(Yellow) :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 계획이 있으면 취소를 고려하고 고속도로나 해안도로 운행 시 서행이 칠요, 지하공간 침수대비

3. 경계(Orange) : 낙하위험시설물 점검 및 결속, 산사태 위험지구 내에 접근을 금지하며 인접주민은 즉시 대피합니다. 건물 내에 침수가 발생할 시 전기나 가스를 차단한 후 대피합니다.

4. 심각(Red) : 학교 임시휴교령, 직장 등 임시휴무를 실시합니다. 여행을 자제하고 집으로 귀가합니다. 붕괴 또는 하천범람 시 주변 접근을 금지하며 침수된 도보나 보도는 보행을 금지합니다.

 

 

태풍이 직접 영향권에 들어오는 경우에도 태풍 위기경보가 '심각(Red)' 단계가 아닐 경우에는 대부분 학교 휴교령이나 직장 임시휴무 등이 강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태풍은 속도가 갑작스럽게 급변할 수 있으며 시시각각 경로를 바꾸기 때문에 휴교나 휴무 등으로 인해 국가적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심각 단계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위기경보와 더불어 개별적으로 대처하여 안전을 최우선하려는 노력도 필요할 것입니다. 따라서 태풍이 온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면 각종 정보에 귀를 기울여 위험에 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실시간 태풍 경로/위치 확인 방법

태풍이 온다는 이야기가 들려오면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에서 ,태풍,이라는 단어만 검색해도 현재 상황을 알 수 있으며 '윈디(Windy)' 어플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태풍 경로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캠을 이용한 전 세계 날씨를 확인할 수 있어 여행 일정 등이 있을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태풍경로확인-윈디앱
윈디 앱
윈디앱-태풍경로확인
윈디 앱 - 태풍 경로 확인

+ 태풍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나

태풍 소식이 전해지면 해당 태풍의 이름과 함께 태풍 상황이 알려집니다. 태풍의 이름은 개미, 제비 등 익숙한 이름인 겨우도 있지만 처음 듣는 듯한 생소한 이름도 있는데 이러한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개인적으로 늘 궁금했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공군과 해군에서 태풍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시작되었으며 그 당시에는 예보관의 아내, 또는 애인의 이름 등을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태풍위원회 회원국(한국, 일본, 중국, 홍콩, 라오스, 북한, 미국 등)이 제출한 이름으로 태풍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의 이름을 5개의 조로 나누어서 순차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북한 역시 회원국으로 이 140개 중 총 20개가 한글로 된 태풍이름입니다.

우리나라가 제출한 태풍 이름은 개미, 나리, 장미, 미리내, 노루, 제비, 너구리, 개나리, 메기, 독수리입니다.

 

8월 태풍 ‘카눈’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이며 8월 한반도와 일본 등지에 인접해 있는 ‘란’은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입니다. 또한 다음에 다가올 수도 있는 태풍의 이름은 사올라(SAOLA)로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입니다.

 

각 태풍위원회 회원국이 제출한 태풍의 전체 이름은 기상청의 날씨누리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상청 날씨누리 

 

 

태풍 경보 발생 기준과 태풍 실시간 위치 확인 방법,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